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

가설공사 II - 가설 비계 성능 검정 가설 기자재 건설 현장에서는 성능 검정에 합격한 가설 기자재만 사용한다. 성능 미달로 인한 제품은 구조물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고 현장 추락과 낙하로 근로자들의 인명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검정 기자재는 강관틀 비계류(주틀, 교차가새, 조절형 받침 철물, 띠장틀, 작업대, 통로용 작업 발판, 강관틀 비계용 주틀의 연결핀, 강관틀 비계용 주틀의 암록), 이동식 비계류(이동식 비계용 주틀 및 각륜,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 거푸집 동바리(파이프 서포트, 보조 지주, 피벗형 받침 철물), 단관비계류(선반 지주, 측벽용 브래킷, 고정형 받침 철물, 클램프, 외주 비계용 작업대 및 그 지지철물, 단관 비계용 강관, 벽 연결용 철물, 단관 비계용의 단관 조인트), 안전 시설류(달기틀, 달기 체인, 호.. 2022. 9. 1.
가설공사 I - 시공계획과 먹매김 설계 도서를 파악한다. 시방 및 도면의 요구조건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가설 펜스, 가설 용지, 가설 건축물, 비계 및 양생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가설 전력과 가설 용수에 대한 비용과 인입 위치를 확인하며 시공 계획에 따른 가시설물을 추가로 반영한다. 주변 건축물을 조사할 때 공인기관의 안전 진단을 사전에 실시하면 좋다. 소음과 진동 발생을 측정하며 필요시 모형실험으로 요구조건을 도출해낸다. 공사 기록과 사진 등 제출할 요건을 인지하여 준비하며 평면의 위치와 높이, 기준점을 측량 도면에서 확인한다. 현장을 측량할 때 주요한 지형지물과 대지 경계선을 파악하고 현장을 측량한 결과를 도면화하여 발주처에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지 경계선과의 거리, 건물의 출입구, 진입로 등을 고려하여 가설 계획에 .. 2022. 8. 30.
공간별 조명 디자인 VII(학교) 학교의 조명 근래의 학교에서는 이전과 달리 시청각 교재를 이용한 교육이 많이 실시되고 있고 그에 따라 조명의 질적 수준도 높아졌다. 기본적인 조명의 용도로 볼 때는 창문의 클수록 조도가 많이 확보되긴 하나 눈부심과 빛 반사 현상이 발생하여 수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 인공조명과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을 조절해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창문이 끌어들이는 빛은 날씨나 계절에 따라서 다르기에 안정적인 인공조명을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책상과 의자가 칠판이 있는 쪽을 향해 배치된 교실에서의 조명도 책상과 의자와 줄을 맞춰 늘어선 형태로 배치하되 주광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어 안정적인 시야와 분위기가 확보된다. 이때 창문을 통해서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서 인공조명도 그룹을 지어 점등되도록 회.. 2022. 8. 1.
공간별 조명 디자인 Ⅵ(공장) 공장의 조명 공장 조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충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 생산성을 향상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조도가 알맞으면 시각적 기능이 향상되어 지각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조도를 높이면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자가 피곤함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노동안전 위생 규칙에 따라 공간에 알맞은 조도를 계획한다.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를 제공하되 작업의 특성에 맞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밀 작업을 하는 곳에서는 추가 조명을 설치하여 높은 조도를 맞추고, 복도와 같은 장소에는 낮은 조도로 밝기의 분포를 달리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이런 경우에는 휘도 비의 차이가 크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커지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서 공간과 공간 사이의 조도 분포도 .. 2022.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