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검정 가설 기자재
건설 현장에서는 성능 검정에 합격한 가설 기자재만 사용한다.
성능 미달로 인한 제품은 구조물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고 현장 추락과 낙하로 근로자들의 인명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검정 기자재는 강관틀 비계류(주틀, 교차가새, 조절형 받침 철물, 띠장틀, 작업대, 통로용 작업 발판, 강관틀 비계용 주틀의 연결핀, 강관틀 비계용 주틀의 암록), 이동식 비계류(이동식 비계용 주틀 및 각륜,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 거푸집 동바리(파이프 서포트, 보조 지주, 피벗형 받침 철물), 단관비계류(선반 지주, 측벽용 브래킷, 고정형 받침 철물, 클램프, 외주 비계용 작업대 및 그 지지철물, 단관 비계용 강관, 벽 연결용 철물, 단관 비계용의 단관 조인트), 안전 시설류(달기틀, 달기 체인, 호이스트 승강구 안전문, 수직 보호망, 안전 방망,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안전 난간 지주, 철골용 클램프, 방호 선반)로 구분한다.
검정된 품목이라 할지라도 공사 시 손상이나 변형 등이 확인되면 교체, 반출 조치를 한다.
외부 단관비계 설치
작업 능률 및 작업자의 안전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구조 안정성을 확보한다.
강관비계의 조립순서는 깔판 - 베이스 철물 - 기둥 - 띠장 - 장선 - 가새 - 벽 이음 - 작업 발판 이다.
시공 시 유의 사항은 기둥 간격이 1.8m이고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하중 한도는 3,920N(400kgf)로 한다.
3층 이상일 경우에는 비계기둥 1개당 하중 한도 6,860N(700kgf)이하가 되도록 분산하며 변형 및 부식된 제품은 사용하지 않는다.
비계기둥의 최상부에서 31m 이하의 아랫부분은 2본의 강관으로 설치하며 가새는 45도 각도로 교차 되는 모든 비계기둥에 결속하며 배치 간격은 15m마다 교차한다. 깔판과 베이스 철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밑둥잡이는 생략할 수 있다.
수직, 수평 5m 이하 간격으로 하며 기둥과 띠장의 교차부에서 직각으로 설치한다. 큰 하중이 가해지는 방호망과 리프트 주위는 추가 설치한다.
강관틀 외주 비계의 설치
틀 비계 조립 시 부재간의 이음을 확실히 점검하여 탈락 및 처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강관 틀비계 조립순서는 비계발판 - 잭 베이스(Jack Base) - 수직틀 - 교차 가새 - 수평틀 - 이음 연결 핀 - 암락(Arm Lock) - 비계발판 - 최상부 난간이다.
조립 시 유의 사항은 지반을 철저히 다지고 조절형 받침판으로 각 기본 틀의 1단에서 수직, 수평을 유지한다.
수직 방향 6m 이내, 수평 방향 8m 이내로 하며 비계의 높이가 밑면 길이의 4배를 초과할 경우 벽체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4배수 높이 이내마다 벽체 및 구조물에 고정한다.
40m 이내가 원칙이며 1개 층에서만 작업하는 것으로 가정해볼 때 57m 까지 가능하다.
높이는 2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틀 간격을 1.8m 이내로 한다.
틀 간격을 1.8m에서 틀 사이의 하중한도를 3,920N(400kgf), 견고한 지반 위에서 수직 기둥관 1개당 24,500N(2,500kgf) 로 하중 한도를 설정한다.
이동식 비계의 설치
작업 중 전도 방지를 위하여 설치 기준을 원칙으로 한다.
비계 높이는 밑면이 최소 폭의 4배 이하가 되며 3단 이상 설치 시 전도 방지용 지지대를 설치하거나 구조물에 고정한다. 상단에는 안전 난간 및 걸침띠를 설치한다.
설치 시 유의 사항은 최대 활하중 표시를 부착하고 작업 발판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각륜의 제동장치는 이동할 때를 제외하고 항상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동일면으로 동시에 2인 이상은 승강 금지이며 작업자를 태운 채 이동하지 않는다.
작업 전 고압선 등 주변 유해시설을 확인, 방호 조치한다.
가설 비계 경사로의 설치
작업자의 통행이 빈번한 경사로에서 추락과 미끄러짐이나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반드시 설치 기준에 따른다.
경사로의 설치 기준은 통로 폭이 60cm이상, 지지하는 기둥은 3m 이하의 간격, 장선은 1.8m 이하의 간격, 계단참은 높이 7m 초과 시 7m 이내마다 1개소 이상 또는 꺾인 부분을 두며 길이는 1.8 이상으로 한다.
난간은 높이 90cm 이상이며 중간대와 발판 턱을 설치하며 건축물 사이에 낙하 방지망을 설치하고 통로 면에서 높이 2m 이내에 장애물은 제거한다.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 경사각은 30도 이하로 하고 초과할 시 계단을 설치한다. 경사각이 15도 미만이고 발판에 미끄럼 방지 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미끄럼막이를 생략할 수 있다.
가설 계단의 설치
통행이 잦고 중량물의 이동이 많은 곳에 설치하는 가설 계단은 견고한 강도와 확실한 고정이 필요하다.
경사도는 35도 정도가 적합하며 30도 이상 60도 미만이 되게 한다. 강도는 500kgf 이상이며 계단 폭은 40 cm 이상으로 하고 계단참의 꺾인 부분 및 높이는 7m 이내마다 길이 1.8m 이상으로 설치한다. 양단의 고정 부위는 탈락하거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가설 작업 발판의 설치
작업 발판은 금속제로 하며 규격은 폭이 240mm 이상, 500mm 이하, 판 두께 1.1mm 이상으로 한다. 재료 수량에 따라 허용 하중을 표시한다. 훅이 있는 틀비계용 작업 발판을 단관비계에서 사용할 때 정확한 장선 간격이 필요하다.
작업 발판을 설치할 때 발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점에 밀착고정 시키고 걸림이 되지 않도록 돌출물을 제거해준다.
비계의 벽 이음 설치
붕괴 방지 및 비계기둥의 좌굴 보강의 기능을 하므로 설치 간격을 준수한다. 단관비계인 경우에는 수직 방향 5m 이하, 수평 방향 5m 이하로 틀비계인 경우에는 수직 방향 6m 이하, 수평 방향 8m 이하로 설치한다. 방호망이나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치 간격을 좁게 한다.
철골구조 안전 가설재
빔 난간대는 건축물 내부 빔 플랜지 부분에 설치하며 안전로프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외부 추락을 방지한다.
달비계라고도 하는 철골 작업대는 발판재의 너비를 40cm ~ 60cm, 난간 기둥의 높이를 100cm 이상, 수평 손잡이 높이를 90cm 이상, 수평 철골에 설치하여 볼트 체결과 용접작업시 안전 작업대로 사용한다. 접이식 일체형으로 조립 및 해체 보관이 용이하다.
빔 브래킷은 H빔용을 플랜질 부분에 체결하여 계단이나 수평 발판을 설치하며 안전한 이동 및 작업 공간을 확보해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빔 클램프는 빔과 수직재 또는 수평재의 결합으로 계단이나 발판 각종 시설재에 설치한다.
안전망 클램프는 빔에 결합하여 안전망에 설치한다.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공사 I - 시공계획과 먹매김 (0) | 2022.08.30 |
---|---|
공간별 조명 디자인 VII(학교) (0) | 2022.08.01 |
공간별 조명 디자인 Ⅵ(공장) (0) | 2022.07.29 |
공간별 조명 디자인 V(병원) (0) | 2022.07.26 |
공간별 조명 디자인 IV(전시공간) (0) | 2022.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