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눈과 색채 눈과 색채 빛이 색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빛을 감지하는 수용기와 감지된 빛을 색으로 인식하는 시각 신경 세포가 있어야 하는데 인간뿐 아니라 빛의 인식 체계를 가진 모든 생물에 해당한다. 인간 수용기인 눈에서의 빛의 전달 과정은 먼저 투명한 각막에 전달된다. 그 후 동공의 축소 확대가 이루어지고 안구 앞방을 거쳐서 수정체의 굴절 작용을 거쳐 눈의 중심부에 있는 유리 체액을 통해 여러 겹으로 되어 있는 망막에 상이 맺히게 된다. 이 망막은 빛의 수용기로서 중요한 시각세포인 밝기를 감지하는 간상체와 색상을 감지하는 추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간상체는 흑백의 명암에만 작용하지만 약한 빛에서도 형태를 구분하게 해주고 추상체는 밝은 조명 아래에서 색상을 감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인간의 수용기는 컴퓨터 모니터인 광학 .. 2022. 7. 1.
색의 인문적 정의 색채의 언어적 의미 색이란 무엇일까? 우리말로는 ' 색 한자어로는 ' 빛 색(色). 동양권에서는 색을 빛으로 정의하고 있고 감정을 수반한 안색, 기색 등이 있고 경치를 서술하는 이색적, 추월 색, 경색 등이 있어 넓은 의미로 빛을 나타내는 단어가 있다. 구어체에서는 색깔, 빛깔 등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말에서의 색은 빛과 관계가 있고 사물의 여러 가지 현상을 표현하는 말로 쓰이며 성격이나 종류의 다양함을 표현할 때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한자에서의 색(色)을 살펴보면 사람인(人)과 마디 절(節)본자(卩)의 결합으로 표정과 마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물리적인 것을 나타내는 말로써 눈에 보이는 색채인 현색과 형태를 의미하는 형색이 있으며 빛을 발하는 자체를 말.. 2022. 7. 1.
색의 물리적 정의 빛의 이해 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 색은 빛이다'라는 정의에서부터 시작하고 시각과 연관된 물리적 에너지인 빛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빛은 비교적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의 한 종류로서 에너지 전달 현상이며, 각각 파장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을 지닌 빛이 된다. 빛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이나 라디오 전파 등에 쓰이는 장파장과 자외선이나 X선인 단파장이 포함된다. 빛은 파장이 짧아 균일한 매질 내에서는 거의 직진한다. 이 때문에 빛의 흐름 폭이 파장에 비교하여 좁거나, 광학적인 상의 주변 부분을 자세히 조사하는 등 파동에 특유한 회절 현상이 영향을 주는 경우를 제외하면 빛은 직진하는 선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빛을 관선이라 하고, 이에 반하여 빛을 파동으로 고찰하는 경우에.. 2022. 6. 30.
먼셀 색체계와 오스트발트 색체계 먼셀 색체계 구조와 속성 화가 먼셀이 1905년에 고안한 색 지각의 세 가지 속성에 따라서 계통적으로 색을 배치한 것으로서 색채를 전달하거나 교육할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공업규격으로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교육용으로 채택된 표색계로 오스트발트 표색계와 함께 대표적인 표색계이다. 먼셀 색체계의 속성으로는 색상, 명도, 채도로 나뉜다. 색상은 색채의 종류를 나타내며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의 5가지와 각각의 중간색을 택하여 총 10가지를 기본색으로 지정했다. 빨간색을 표기하는 기호 R, 노란색을 표기하는 기호 Y, 초록색을 표기하는 기호 G, 파란색을 표기하는 기호 B, 보라색을 표기하는 기호 P로 기호화되었으며, 각각 기호 사이에 중간 색상인 YR (주황), GY (연두), BG (청.. 2022.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