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인테리어

조명 방식의 분류

by josie.c 2022. 7. 18.

 

 

조명 방식

 

조명 방식의 분류는 배광에 의한 분류, 조도 분포에 의한 분류, 용도와 목적에 의한 분류, 광원 크기에 의한 분류, 설치 방법에 의한 분류, 건축화 조명 방식에 의한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배광에 의한 분류 
배광에 의한 분류는 조명 기구에서 빛이 나오는 방향에 의해서 분류하도록 한다. 직접 조명은 빛의 90~100% 정도가 아래쪽으로 향하거나 0~10% 정도가 위쪽으로 향해서 나오는 방식으로 경제적이며 조명 효율이 높다. 반면 직접 빛을 비추는 방식이라 눈부심과 그림자가 강하게 생기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반투명한 유리나 미색 아크릴, 창호지를 함께 활용하면 조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반 직접 조명은 빛의 60% 정도가 아래쪽으로 향하고 나머지의 40% 정도가 위쪽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반직접 스탠드 조명을 공간에 연출하면 빛이 공간의 전체적으로 확산하기에 조화로운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
간접 조명은 빛의 90% 정도가 위쪽으로 향하고, 10% 정도가 아래쪽으로 향해 천장 면 쪽에 한번 비추고 그 반사광으로 조도 분포가 균일하게 일어나며 정갈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다. 
반간접 조명은 빛의 60% 정도가 위쪽을 향하고 나머지 40% 정도가 아래쪽을 향하는 방식으로 가장 효과적인 조명 방식이라 말할 수 있고 조도가 균일하고 온화하고 눈부심이 적어 주거 공간이나 상업 공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특히 반 간접 방식을 적용한 펜던트 조명을 선호한다.
확산 조명은 빛이 위, 아래쪽으로 40~60% 정도로 균일하게 확산하는 방식으로 밝고 빛의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는 되나 눈부심이 있고 사용처가 다양하지 않다.

조도 분포에 의한 분류
전반 조명은 일정한 높이와 간격으로 조명을 배치하여 실내에 균일하게 비추는 방식이다. 편안하고 부드러운 분위기가 연출되어 학교 및 사무실과 같은 공공장소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국부 조명은 조명 연출이 효과적으로 요구되는 작업 공간이나 상업 공간에 사용되며 눈의 피로나 시각적으로 불편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으며 불필요한 그림자를 제거하여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혼합 조명은 전반 조명과 국부 조명의 방식을 다 적용하여 경제적인 조도를 맞추고 생동감을 주는 표현이 가능하여 상업 공간 및 작업실에 사용된다.

용도와 목적에 의한 분류
기능 조명은 말 그대로 시각적 자료의 작업 기능이 용의하도록 사무실이나 공장 등에서 주로 사용하며, 장식조명은 분위기 조명이라고도 하며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브라켓, 샹들리에, 펜던트 등을 사용하여 공간에서의 장식적인 역할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악센트 조명은 디스플레이 조명이라고도 하며 장식조명과는 조금 달리 그림, 소품, 예술 작품 등을 비출 때 사용하기도 하며, 건축적인 재질의 요소를 강조할 때 사용하여 효과적인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다.

광원의 크기에 의한 분류
광원이 비치는 면과의 거리의 1/5보다 작은 광원인 점 광원, 하나의 선처럼 보이는 형광등과 같은 선 광원, 넓은 면에서 균일하게 빛을 내는 면 광원으로 나눈다.

설치 방법에 의한 분류
매입형 조명은 기구를 천장 속으로 매입하여 겉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방식으로 스포트 라이트형, 다운 라이트형이 있다.
직부형 조명은 천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기존 주거 공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고, 눈부심이 많으므로 유리나 아크릴 커버를 씌워 빛을 차단 혹은 확산시켜주어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나 공간의 구석 부분에는 조명이 일정하게 비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 근래에는 주거 공간에도 매입형 조명을 균일한 위치에 설치하여 직부형 조명의 단점을 보완하기도 한다.
펜던트형 조명은 와이어나 파이프로 늘어뜨려 매다는 방식으로 주로 주방의 식탁 위, 침실의 사이드 테이블 위에 사용하며 근래에는 욕실이나 현관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상적인 높이에 설치한다.
이동형 조명은 스탠드 조명이라고도 말할 수 있으며 전기 공사를 하지 않고서도 콘센트만 있으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인테리어 소품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건축화 조명 방식에 의한 분류
건축적 용소인 벽이나 바닥, 천장의 일부를 광원과 하는 방식으로 붙박이 조명 방식이라고도 말한다.
광 천장 조명은 천장에 조명 기구를 설치하여 그 아래에 확산 아크릴이나 유리 같은 마감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림자가 없는 것이 특징이고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나 정적이며 지루한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광창 조명은 지하철이나 버스 정류장 벽면 광고에서 제일 흔하게 볼 수 있으며 벽면에 조명 기구를 설치하여 스크린으로 마감한 방식이다.
코브 조명은 높은 천장의 높낮이 단차를 이용하여 천장을 향해 빛을 비추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간접조명 방식이라고 알려져 있다.
반사되는 면의 마감에 따라서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며 천장과 가까워질수록 천장 중심부는 어두워질 수 있기 때문에 거리를 고려하여 설치해야 한다.
트로퍼 조명은 매입 조명 방식과 비슷하며 천장에 형광등이나 라인 LED 조명을 매입한다. 주로 사무실 조명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눈부심 방지를 위해 차고아판, 디퓨저, 루버 등을 같이 사용한다.
벽면 조명에는 밸런스 조명, 브라켓 조명, 코니스 조명, 월 워셔 조명, 그레이징 조명 등이 있으며 벽면에 부착시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소품을 강조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캐노피 조명은 천장에 매입시키거나 천장면보다 더 낮게 설치하는 방식이다. 주로 주방의 싱크대 및 작업대의 상부에 설치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이거나 분위기 조명으로도 사용한다.
코퍼 조명은 장식을 위해서 천장 면에 우물천장 방식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내어 그 안쪽에 조명을 다는 간접 조명 방식이다. 백화점이나 호텔 로비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빔 조명은 천장에 조명을 매입시키는 매입형과 조명을 노출하는 직부형으로 나누며 미색 유리나 아크릴 커버로 감싼 방식을 말한다.
루버 천장 조명은 천장에 루버를 설치하고 그 위에 조명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루버 면의 간격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별 조명 디자인 II(상업공간)  (0) 2022.07.22
공간별 조명 디자인Ⅰ(주거공간)  (0) 2022.07.21
광원의 종류  (0) 2022.07.14
빛의 이해  (0) 2022.07.14
색채 소재  (0) 2022.07.12

댓글